커머스 필드에서 고객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은 매출로 이어지기에 고객의 행동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.
야래의 내용은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와 고도몰(NHN 쇼핑몰 제작 플랫폼)에서 트래킹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요소들이다.
[네이버]
- 고객 데이터: 스토어의 고객 현황 (주문 고객 통계, 성별/연령대/고객 등급간 구매 통계, 재구매 통계)
- 마케팅 분석: 유입이 발생한 마케팅 채널 통계, 마케팅 채널 성과, 키워드별 유입 및 결제 성과
- 쇼핑행동 분석: 페이지/상품별 고객의 주요 행동 데이터(유입 고객 수, 체류 시간, url / 상품 상세 조회 수, 상품 ID, 상품명, 결제 상품 수량)
- 실시간 분석: 1시간 단위의 스토어 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
- 판매 분석: 배송 통계, 판매 성과, 상품별 결제 데이터
[고도몰(NHN 커머스)]
고객 활동 분석을 돕는 툴로 GA(Google Analytics), GTM(Google Tag Manger)들이 있는데, 이 둘의 차이를 짚어보자.
GTM
- GTM 스크립트를 삽입한 뒤, GA 혹은 다른 툴로 연결한다.
- 여러 툴(GA, Facebook 등)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한다.
- GA와 같은 여러 툴(도구)들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.
- GA에 자바스크립트 추적 코드(= 태그라고도 함)를 쉽게 추가하고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.
- 사용 목적
- 자바스크립트 추적코드 관리 가능(GA는 이 심어진 코드를 바탕으로 분석 보고서를 제공한다.)
GA
- GA 스크립트, 로그 수집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.
- 유입 및 행동 레포트에 따라 목표 전환이 가능하다.
- 태그를 개발자가 삽입해야한다.
- 사용 목적
- 웹 사이트 방문자 수, 방문자의 접속 지역 파악
- 세션 당 페이지 수, 이탈 수 파악
- 가장 인기있는 페이지, 이벤트 파악
- 접속한 기종(android, ios) 파악
정리
- GA - 사이트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분석 도구
- GTM - 정의된 규칙에 따라 추적 코드를 실행하는 도구
- GTM과 GA는 서로 완전히 대체될 수 없다.
- 사용 목적이 아예 다르며, GTM은 GA 관리를 편하게 해줄 수 있는 툴이다.
- A/B 테스트나, 유의미한 데이터를 뽑기 위해선 GA를 이용해야한다.
Cf) 참고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렉트론 (0) | 2025.01.21 |
---|---|
클라우드를 활용한 FE 배포 (0) | 2024.08.22 |
도커를 통한 FE 배포의 필요성 (0) | 2024.08.22 |
Github & Bitbucket (0) | 2024.08.21 |
ESLint & Prettier (0) | 2024.08.21 |